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트럼프 미국 관세
- 25년 3월 미국 증시 분석
- 딥러닝
- 연체 css
- 스코어카드 만드는법
- 미장 분석
- css 리스크관리
- 미국 증시 방향성
- 연체용어
- Cudnn 버전 확인
- 미국 증시 분석
- 미국 투자 분석
- 2025년도 미국 관세
- 미국 시황
- 2025년 3월 6일 미국 증시 분석
- Python Numpy
- python pandas
- 25년 3월 증시 분석
- 주식 데이터 수집
- css risk
- css 리스크
- 25년 3월 11일 미국 증시 분석
- 취업사이트 정리
- 코딩 사이트 정리
- 트럼프 2025년 미국 관세
- 25년 3월 12일 미국 증시 분석
- 관세 설명
- jupyter notebook PDF
- 딥러닝 제대로 시작하기
- 스코어카드 예시
- Today
- Total
koos808
2025년 3월 5일 미국 증시 분석 및 전망, 투자 방향성 본문
2025년 3월 5일 미국 증시 분석 및 전망
2025년 3월 5일 미국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날 주요 지수는 하락세로 마감했으며,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상승 및 하락한 대표적인 항목들을 정리하고, 전체 시장 동향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지수 동향
- S&P 500: -1.76% 하락 → 5,849.7
- 나스닥: -2.64% 하락 → 18,350.2
- 다우존스: -1.38% 하락 → 43,200대
오전에는 비교적 낙폭이 작았지만, 오후 들어 트럼프의 관세 관련 발언이 나오면서 낙폭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나스닥 지수가 한때 -3%까지 밀리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불확실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상승한 대표적인 항목
- SK하이닉스: +3.76% -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
- 삼성바이오로직스: +2.05% - 제약·바이오 강세
- 현대차: +2.31% - 자동차 업종 강세
- 기아: +2.79% - 자동차 업종 강세
- LG에너지솔루션: +0.60% - 2차전지 관련주 상승
- 포스코퓨처엠: +3.07% - 2차전지 관련주 상승
- SK이노베이션: +2.01% - 2차전지 관련주 상승
- 보로노이: +7.11% - 기술주 강세
- 삼천당제약: +6.22% - 제약·바이오 업종 강세
- 알테오젠: +3.50% - 바이오시밀러 기대감
하락한 대표적인 항목
- 엔비디아: -8.69% - 기술주 중심 매도세
- 에스엠: -2.78% - 엔터테인먼트 업종 약세
- JYP Ent.: -2.41% - 엔터테인먼트 업종 약세
- 펄어비스: -1.56% - 게임 업종 약세
- 클래시스: -0.35% - 기술주 약세
- HLB: -0.11% - 제약·바이오 업종 약세
- 리노공업: -1.23% - 산업재 업종 약세
- 파마리서치: -1.12% - 제약·바이오 업종 약세
- 휴젤: -0.96% - 제약·바이오 업종 약세
- 에코프로비엠: -0.71% - 2차전지 관련주 약세
미국 상장 주식 상승 종목
- Ford (F): +3% - 자동차 업종 강세
- General Motors (GM): +4.7% - 자동차 업종 강세
- Tesla (TSLA): +1.8% - 전기차 업종 강세
- Stellantis (STLA): +7% - 자동차 업종 강세
- Toyota Motor (TM): +6% - 자동차 업종 강세
- Intel (INTC): +2% - 반도체 업종 강세
- Apple (AAPL): +1.5% - 기술주 강세
- Microsoft (MSFT): +1.2% - 기술주 강세
- Amazon (AMZN): +1.1% - 기술주 강세
- Google (GOOGL): +1% - 기술주 강세
미국 상장 주식 하락 종목
- NVIDIA (NVDA): -8.69% - 기술주 중심 매도세
- Meta Platforms (META): -3.5% - 기술주 약세
- Netflix (NFLX): -2.8% - 엔터테인먼트 업종 약세
- Disney (DIS): -2.5% - 엔터테인먼트 업종 약세
- Boeing (BA): -2.2% - 산업재 업종 약세
- Caterpillar (CAT): -1.8% - 산업재 업종 약세
- Johnson & Johnson (JNJ): -1.5% - 제약·바이오 업종 약세
- Pfizer (PFE): -1.2% - 제약·바이오 업종 약세
- Exxon Mobil (XOM): -1% - 에너지 업종 약세
- Chevron (CVX): -0.9% - 에너지 업종 약세
시장 동향 분석
이날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나스닥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기술 산업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한 투자자들의 반응으로 보입니다.
또한, 국제 금가격은 +1.85% 상승하여 트로이온스당 291.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금 가격이 오른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국제 유가(WTI)는 -2.3% 급락하여 배럴당 68.3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OPEC+ 감산 철회 가능성이 나오면서 유가가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유가 하락을 부채질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채권 금리 및 달러·변동성 지수
- 미 10년물 국채 금리: -6.6bp 하락 → 4.163%
- 변동성 지수(VIX): +15% 폭등 → 22.75
- 미 달러 인덱스: -0.96% 하락 → 105.8
국채 금리는 하락하면서 채권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현상을 반영한 것입니다. 변동성 지수(VIX)는 +15% 폭등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졌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미 달러 인덱스는 -0.96% 하락하여 달러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투자자 심리 및 전망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시장에 큰 불확실성을 야기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기술 산업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한 투자자들의 반응으로 보입니다. 또한, 국제 금가격 상승과 국채 금리 하락은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 시장 전망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의 보복 관세 조치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시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기술주와 자동차 업종의 향후 동향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증시 투자 방향성
- 안전자산 선호: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금과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자산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업종 주목: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해당 업종의 주가 변동성을 주시해야 합니다. 특히,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대하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기술주 신중 접근: 기술주는 관세 정책의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술주에 대한 투자를 신중히 검토해야 하며, 특히 해외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을 주시해야 합니다.
- 에너지 업종 모니터링: 유가 하락으로 인해 에너지 업종의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OPEC+의 추가 조치와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유가가 반등할 수 있으므로, 해당 업종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각화 전략: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업종과 자산 클래스에 투자함으로써 시장 변동성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결론
2025년 3월 5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와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과 주요 교역국들의 대응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고, 자동차 및 기술주 등 특정 업종의 동향을 주시해야 합니다. 또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시장 변동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금융&경제 > 경제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12일 미국 증시 분석 (3) | 2025.03.13 |
---|---|
2025년 3월 경제 주요 이슈와 심층 분석 (0) | 2025.03.12 |
2025년 3월 11일 미국 증시 분석 (1) | 2025.03.12 |
2025년 3월 6일 미국 증시 분석 컬럼 (9) | 2025.03.07 |